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및 검사항목 안내
식품이나 유흥업 종사자가 건강에 이상이 없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발급하는 진단서를 보건증이라고요. 일반음식점 및 휴게음식점, 식품 또는 식품더물을 채취, 제조, 가공, 운반 또는 판매하는 일에 직접 종사하는 영업자와 종사원들이 영업신선택할 하기 위해 발급받는 건강진단결과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건증이란?
보건증은 건강진단결과서라고요. 식품 및 음식을 다루는 업종에서는 건강상 어떤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것을 입증하는 서류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 복지부 등 연관 법령(식품위생법 제40조, 식품위생분야 종사자 등의 건강진단규칙 제2조)으로 정해져 있어 실시하는 것이라고요.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365일이기 때문에 위생분야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의 경우 365일마다 보건소에서 건강진단을 통해 보건증을 갱신해야 할 필요가 있어요.
365일의 기준은 검사한 날이 아닌 결과가 나온 발급일부터를 기준으로 해요. 단, 학교에서 종사하는 위생분야 종사자의 경우에는 보건증의 유효기간이 6개월이며 유흥업소 종사자의 경우 보건증의 유효기간이 3개월이라고 합니다.






보건증 검사항목
일반 요식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라면 보건증 검사항목은 심하게3가지이라고 합니다.
① 장티푸스
보통은 식품위생연관 영업이나 집단급식소 종사자가 검사받는 항목으로 항문에 면봉을 삽입해서 검체를 채취해서 검사를 해요.
② 폐결핵검사
흉부 x-ray 검사를 통해 폐결핵 유무를 검사해요.






③ 전염성 피부질환
양손을 앞 뒤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되며 한센변 등의 세균성 피부질환을 찾아볼 수 있어요.
참고사항으로 유흥업소의 경우에는 결핵과 에이즈 검사를 추가로 받게 돼요.
보건증 인터넷발급 및 다시 발생급 방법 안내
1. G헬스 공공보건포털 접속하기
보건증 인터넷 다시 발생급은 G헬스 공공보건포털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G-health 사이트는 민원24와 함께 온라인 민원서비스를 전달하는 사이트로, 보건과 연관된 온라인 민원서비스를 공급합니다.
G헬스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사이트 상단의 온라인 민원서비스의 제입증발급을 선택해요. 스크롤을 내리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기입하여, 본인 체크 절차를 거쳐야 해요. 공동인증서, 아이핀, 디지털원패스, 핸드폰 본인체크가 있으니, 편한 방법으로 선택하시면 돼요.






그러면 팝업창이 하나 뜨는데,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를 클릭하면, 접수일자, 보건소명, 접수번호가 보여집니다. 접수를 번호를 클릭해요. 발급용도, 신청통수,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표기 가능성을 선택하며, 신청하기를 누르면 발급이 돼요.
2. 보건소 또는 병원 내원
우선 각 지역 보건소를 내원하신 후, 신분증과 같이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신 후 검사를 하시면 몇 일 내(평균 5일 정도)로 검사 결과가 통보돼요. 검사에는 보건소 수수료 3,000원의 비용이 들어요. 일반 병원에서 발급하시는 경우는 1~3만원의 비용이 들어요. 그리고, 아직 코로나 여파로 보건증 발급 중단 후 재개가 안되거나, 보건증 발급 재개 후 예약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보건소가 많기 때문에 이점 반드시 체크하고 내원하시기 바래요. 당일 예약은 불최대한 경우가 많아요.
보건소는 거주지와 상관없도록 가까운 보건소에서 발급이 가능해요. 보건증 발급을 안하는 보건소도 있으니, 미리 확인하고 가시는 것이 좋답니다. 검사결과는 다시 오프라인으로 보건소를 내원해 신분증과 접수증 제시 후, 결과서를 수령하는 방법과 인터넷을 통해 발급받는 방법이 있어요.
댓글